호거산 운문사
1952년해인사 국일암에서 선행스님을 은사로 득도
1952년동산 화상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58년승주 선암사강원 대교과 졸업
1958년선암사 성능 조실스님으로부터 전강
1958년승주 선암사 강사로 취임
1961~1970년서울 청룡사 강사로 취임
1966년해인사 자운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수지
1970년청도 운문사 강사 취임
1970~1988년조계종 3,4,5,8,9대 중앙종회의원 역임
1974년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박사과정 수료
1977~1998년운문사 강원 강주 및 주지 겸임
1980년비구니별소 계단 갈마아사리 및 교수아사리 역임
1987~2012년운문사승가대학 학장 역임
1997년운문사승가대학원 원장 역임
1998년동국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 학위 취득
2001년동국대학교 총동창회 부회장
2001~2003년대한불교조계종 구족계화상 전계사 역임
2003~2011년조계종 전국비구니회 제8,9대 회장 역임
2007년대한불교조계종 명사법계품서 수지
2008년태국 마하출라롱콘라지위달라야 대학 명예박사 학위수여
2012~2013년대한불교조계종 구족계화상 전계사
현재운문사 회주, 운문사 한문불전대학원장
• 『初能變識의 硏究(論文)』
• 『俱舍論大綱(譯書)』
• 『佛敎學論文集 (法界星回甲記念論文集)』
• 『唯識講要(譯書)』
• 『諸經序文(編書)』
• 『阿比達磨順正理論(譯書)』
1970년在錫스님을 은사로 득도
1971년 만법사에서 벽암화상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78년통도사에서 월하화상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1978년운문사승가대학 대교과 졸업
1978~1985년 운문사승가대학 중강 역임
1978년 운문사승가대학 교무 역임
1978년동국대학교 승가학과 졸업
1982~1987년 대한불교조계종 단일구족계 습의사
1985년 운문사승가대학 명성講伯으로부터 전강
1985년 운문사승가대학 강사로 취임
1988~1990년 대만 불학연구소 중국불교 연구
1994년 일본 경도불교대학 석사학위 취득
1996년 운문사승가대학 강사 재임
1999년 불영사 영축선원에서 동안거 성만
2002~2006년 운문사승가대학 학감 역임
2001~2010년 조계종 교재 편찬위원 역임
2007~2010년 생명나눔실천본부 이사 역임
2009년 불영사 영축선원에서 동안거 성만
2010~2014년 운문사승가대학 주지 역임
2010~2014년 조계종 15대 중앙종회의원 역임
2015~2018년 운문사승가대학 학장 역임
2015~2023년 전국비구니회 부회장 역임
2004~현재 조계종 단일계단 니 갈마위원
2005~현재 불교여성개발원 특별 자문위원
2014~현재 운문사한문불전대학원 학감
2020~현재 조계종 단일계단 니 존중아사리
현재 운문사한문불전승가대학원감
1994년 「한국근대불교에 있어서 일본의 영향」
1995년 「불교와 여성」
1996년 『불교임상심리학(譯書)』, 불광출판사
2014년 『승만경을 읽는 즐거움』, 민족사
1997년 청도 운문사에서 명성스님을 은사로 득도
1978년 통도사에서 월하화상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83년 운문사승가대학 대교과 졸업
1985년 범어사에서 자운화상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1989년 직지사 조실 관응 조실스님으로 부터 唯識論 受學
1989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졸업
1990년 울진 불영사에서 하안거 성만
1990~1994년 운문사승가대학 중강 역임
1995~1997년 고흥 봉래사 주지 역임
1998~1999년 미국 텍사스 휴스턴 Southwest Zen Academy에서 禪수련
1999년 운문사승가대학 명성講伯으로부터 전강
1999~2023년 운문사 승가대학 교수 역임
1999~2008년 대한불교조계종 승가고시위원회 승가고시 전문위원 역임
2008년 운문사 보현율원 법계명성 율주스님으로부터 傳戒
2000년 대구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 석사학위 취득
2009년 대구영남대학교 인문대학원 철학과 박사학위 취득
2010~2011년 미얀마 파욱 및 쉐우민 명상센터에서 사마타•위빠사나 수행
2014~2018년 운문사 제17대 주지 역임
2019~2022년 운문사승가대학 학장 역임
2021~2023년 대한불교조계종 비구니교수사 역임
2023~현재 운문사한문불전승가대학원 교수
1993년 『唯識論解說』, 민족사
1994년 『본공당 계명선사의 삶과 수행』
2000년 「도갑사 관음삼십이응신도의 도상연구」, 석사논문
2003년 「불교경전에 나타난 동자상」, 국립청주박물관
2003년 「고구려 보분벽화에 나타난 연화화생 고찰」
2008년 「憨山硏究를 위한 예비적 고찰」, 동북아 철학회
2009년 「憨山의 三敎合一思想 연구」, 박사논문
2013년 「圓光法師와 雲門寺의 因緣」, 운문사 화랑연구소, 운문사승가대학 출판부
1996년 해인사 약수암에서 자용(慈容)스님을 은사로 득도
1996년 해인사에서 혜암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2002년 직지사에서 보성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2002년 운문사승가대학 제38회 졸업
2006년 서울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졸업
2011년 서울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석사 졸업
2013~2014년 일본 붓쿄대학 교환학생 및 연구원
2018년 도쿄대학 인도철학・불교학과 석사졸업
2025년 도쿄대학 인도철학・불교학과 박사수료
2025년~ 운문사한문불전대학원 강의
2019년 「Mahāparinibbāna-sutta における七不衰退法について」
2020년 「比丘の七不退法に見られる修行道―部派仏教系<涅槃経>に基づいて―」
2023년 「有部系〈涅槃経〉における「聞法」重視の傾向につい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