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숨결이 깃든

호거산 운문사

자료실

臨終의례 문화와 佛敎徒의 역할

가람지기 | 2010.01.06 12:01 | 조회 2922

【 발 원 문 】
【 요 약 문 】

Ⅰ. 시작하는 말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연구의 방향과 범위


Ⅱ. 불교와 과학으로 본 생명과 죽음의 이해

1. 종교와 과학의 통섭
1) 과학과 종교의 의미
2) 불교와 현대과학의 통섭

2. 생명의 근원
1) 우주와 생명의 근원
2) 가이아의 생명의 원천
3) 생명이란?
4) 물과 소리가 생명에 미치는 영향
5) 생명의 인드라망

3. 죽음의 이해
1) 죽음이란
2) 우주와 인간의 관점


Ⅲ. 현대사회의 Well-dying 문화와 임종의례

1. Well-dying 문화
1) Well-being & Well-dying
2) 국내외 Well-dying 문화
3) 동물들의 죽음문화

2. 임종의례 문화
1) 임종과 터미널케어
2) 임종시 의례와 음악의 영향
3) 국내외 임종의례 문화


Ⅵ. Buddha의 Well-dying사상과 임종의례

1. Buddha의 Well-dying 사상
1) 인간 고타마 싯다르타
2) 붓다의 Hospice 사상
3)『열반경』으로 보는 Buddha의 Well-dying
4) 상제례에 대한 붓다의 견해

2. 불교도의 Well-dying
1) 불교도란?
2) 생사의 업과 윤회
3) 죽음극복의 가르침
4) 죽음챙김의 수행
5) 불교도의 임종과 장례

3. 현대사회의 불교 임종의례
1) 불교 상제례의 이해와 유래
2) 불교 임종의례의 정의와 목적
3) 불교 임종의례의 주체와 대상
4) 불교 임종의례와 터미널케어
5) 불교 임종의례와 장례문화
6) 한국불교 임종의례의 현황


Ⅴ. 임종의례 문화 정립을 위한 불교도의 역할
1. 불교도의 정체성 확립
2. 불교적 Well-dying 문화운동
3. 차별화된 불교적 죽음준비교육 연구
4. 불교도의 임종의례 문화
5. 다양한 불교임종의례 개발
6. 불교 임종의례 관련 인프라의 구축
7. 불교 일생의례의 표준화와 생활화


Ⅴ. 맺음말

【 회 향 문 】
Abstract
참고문헌

본 논문은 조계종 교육원이 주최하는 제5회 전국승가대학(강원) 학인 논문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臨終의례 문화와 佛敎徒의 역할.hwp
twitter facebook
댓글 (0)
주제와 무관한 댓글, 악플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